프로토픽 연고 0.03%, 0.1%
오늘은 아토피 피부염에 처방되는 주 치료제 프로토픽 연고에 대해 알아볼게요. 프로토픽 연고는 타크로리무스 성분으로, 0.03% 와 0.1% 두가지 농도가 있어요. 타크로리무스는 피부에서 과도한 혹은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줄여주는 면역 조절제 성분이에요. 프로토픽연고는 스테로이드성분이 아니기때문에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어려운 얼굴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연고에요.
*프로토픽연고는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해요.
*동일 성분, 다른 상품명 : 프로토픽연고 = 토피크로 연고
사용방법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아토피 피부부위 혹은 건선, 만성피부질환 염증부위에 소량으로 얇게 펴발라줍니다.
완두콩만큼 짜서 500원짜리 동전크기보다 약간 더 큰 범위에 발라줄 수 있어요.
처음 사용하는 1주일동안은 피부가 따끔거릴 수 있는데, 연고의 성분상 자연스러운 반응이에요. 사용한지 1~2주가 지날수록 해당 증상은 거의 없어질거에요. 이런 자극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소량 얇게 발라주는 것이 중요해요.
주의사항
- 얼굴이나 목처럼 옷으로 가려지지 않는 부위에 해당연고를 사용하는 경우, 야외활동 시 선크림을 챙겨바르실 것을 권장해요. 프로토픽 연고를 사용할 경우 피부가 자외선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 2세 미만 아이한테는 사용하지 않아요.
- 프로토픽연고는 모유이행이 되기때문에, 수유부는 의사의 상담 하에 사용할 수 있어요.
- 임산부에 대한 연구결과가 충분하지 않아요.
- 연고를 바른 부위에 반창고나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아요. 밀봉할 경우 과도한 양이 흡수될 수 있고, 그 결과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때문이에요.
프로토픽 연고, 장기복용 안정성
프로토픽 연고는 스테로이드 연고가 아니기때문에 장기 사용해도 피부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확장되는 부작용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없어요. 그렇다고해서 프로토픽 연고는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말은 아니에요. 홍반/따끔거림 등의 부작용이 계속되거나 심해져서 중단하는 환자분들도 있답니다.
무엇보다도 해당 약품을 장기간 사용하면 피부암 발생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국소 부위에만 소량 사용하기때문에 거의 무시하셔도 되는 부분이에요. 다만 자외선차단제(선크림)을 미리미리 챙겨발라주어 미리미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세요.
영영약사의 복약지도, 우리 아기 아토피에 먹이기 좋은 영양제 추천
아토피는 병원에서도 보통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원인을 몰라서 해결할 수 없으니, 결국엔 전신의 염증을 줄여주고 면역력을 올려주는 성분들로 치료할 수 밖에 없어요.
- 오메가 3
- 달맞이꽃 종자유, 감마리놀레산 성분
- 유산균
- 비타민D
위 성분들을 아무것도 복용하지 않고 있다면, 동시에 함께 복용을 시작해보세요.
오메가 3 와 감마리놀레산은 햄버거, 피자, 치킨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들의 식습관에서는 부족해지기가 너무나도 쉬운데요. 나쁜 기름은 피부에 염증을 유발해서 여드름, 아토피 등을 일으키지만, 오메가 3와 감마리놀레산은 항염작용이 뛰어난 우리 몸에 좋은 기름이에요. 음식으로 섭취하기가 어렵기때문에 피부염때메 고생하는 아가들이라면 꼭 영양제로 별도로 섭취해주어야해요.
장내 미생물은 피부질환 심지어는 뇌의 기억력까지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따라서 좋은 유산균을 섭취해주어 장에 좋은 미생물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현대인들은 실내 생활을 주로 하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가 결핍인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비례해서 아토피와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도 늘어나고 있다는 점때문에 비타민D가 부족해지면 몸에 염증반응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어요. 실제로 비타민 D를 복용할 경우, 많은 아이들에게서 아토피 등 피부염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계속 나오고 있답니다. ㅎㅎ
아래에 관련 기사 링크를 복사해 둘게요.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2430
비타민 D, 아토피 피부염 발생 위험 낮춘다 - 의학신문
[의학신문·일간보사=이정윤 기자] 비타민 D의 보충이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위험을 낮추고 증상을 덜어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제시됐다.이는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 결핍이 늘어나
www.bosa.co.kr
'네모 약사의 상담 > 처방받은 약이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력한 역류성 식도염치료제 케이캡의 후발주자, 펙수클루정의 효능과 용법 (0) | 2023.02.01 |
---|---|
안구건조증 치료제 디쿠아스 점안액이랑 레스타시스, 인공눈물이랑 차이점은 ? (0) | 2023.01.31 |
인데놀정의 효능효과, 부작용, 내성 및 주의사항 (0) | 2023.01.28 |
현직 약사가 알려주는 알프람정 효능과 부작용 (0) | 2023.01.26 |
당뇨약 식전 식후 언제 먹어야할지 모르겠다면 내가 복용하는 약 확인부터! (0) | 2023.01.25 |
댓글